곤충과 해충 - 이로운 곤충과 해로운 해충
잔디밭이나 풀숲에서 쉽게 볼 수 있는 곤충. 우리는 가까이에서 많은 곤충을 접할 수 있습니다. 이런 곤충 중 이로운 곤충이 있는가 하면 우리에게 피해를 끼치는 해로운 해충도 있습니다.
1. 곤충과 해충
곤충(昆蟲 벌레 곤, 벌레 충) insect
곤충은 절지동물문 곤충강에 속한 동물을 말하는 것으로, 전 세계적으로 약 백만 종 이상의 곤충이 존재한다고 합니다.
곤충의 생물학적 특징으로는 몸이 세 부분(머리, 가슴, 배)으로 나뉘어 있고 다리는 6개, 대부분의 곤충에 더듬이 1쌍이 있고 날개는 있을 수도 없을 수도 있습니다.
그렇다면 곤충 중에서 어떤 곤충이 이로운 곤충일까요?
약 백만 종 이상의 곤충 중에서 약 97%의 곤충이 인간에게 유익하거나 무해하다고 하는데요.
이로운 곤충은 수분 매개, 유기물 분해, 토양의 통기성을 좋게 해 주고 해충을 잡아먹습니다. 또한 꿀벌이 만드는 꿀과 같이 사람에게 이로운 것을 생산하기도 하죠.
해충(害蟲 해할 해, 벌레 충) pest
해충은 곤충 중에서 사람이나 농작물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해가 되는 벌레를 통틀어 이르는 말입니다. 곤충이 아니라도 인간에게 직간접적으로 해를 끼치는 진드기나 쥐와 같은 설치류도 해충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해로운 해충은 농작물에 피해를 주고(벼멸구, 진딧물) 사람의 건강을 위협하며(전염병을 일으키는 모기, 파리) 생활에 불편함을 끼치는(위생 문제를 일으키는 바퀴벌레) 등의 피해를 줍니다.
2. 곤충과 해충의 종류
이로운 곤충
꿀벌, 나비 - 꽃가루를 옮겨 식물의 번식에 도움(수분 매개)
무당벌레 - 진딧물을 잡아먹는 포식성 곤충
잠자리 - 모기, 파리와 같은 해충을 잡아먹음
해로운 해충
모기 - 말라리아, 뎅기열 등 전염병의 매개체가 됨
파리, 바퀴벌레 - 위생 문제, 음식 오염 등을 일으킴
진딧물 - 식물의 즙을 빨아 농작물 피해를 일으킴
노린재 - 고약한 냄새가 나며 다양한 종류의 식물이나 열매를 먹음
메뚜기 - 논이나 밭에서 농작물을 갉아먹으며 농업에 피해를 끼침
흰개미 - 목조건물의 나무를 갉아먹음
3. 곤충과 해충을 구분해야 하는 이유
· 잘못된 박멸 막기 위해
해충은 인간에게 해로운 벌레이니만큼 우리는 이 해충을 없애기 위해 여러모로 애를 씁니다. 하지만 모든 곤충을 해충으로 여겨 없애려고 하면, 생태계에 중요한 곤충도 함께 제거되기 때문에 생태계의 불균형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 효율적인 방제
어떤 곤충이 이롭고 해로운지 알아야 그에 맞는 방제책을 마련할 수 있습니다.
· 환경 보호
이로운 곤충은 보호하고 해충을 정확히 제거하면 농약 사용량을 줄이는 등 환경에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우리는 곤충을 모두 해충으로 보지 말아야 할 것 같습니다. 오히려 많은 곤충들이 우리가 살아가는 환경에 꼭 필요한 존재이기도 하죠. 곤충과 해충을 구분해서 지키고 보호해야 할 곤충을 잘 알아야 할 것 같네요.
--- 참고로 --- 곤충과 벌레는 어떻게 다를까요?
우리는 곤충이나 벌레라는 단어를 별다른 구분 없이 사용하는 것 같은데요. 하지만 곤충과 벌레는 엄연히 다른 개념이라고 합니다.
곤충은 생물학적으로 분류되는 생물로 곤충강에 속한 동물들을 이르는 말입니다. 곤충의 특징으로는 몸이 머리, 가슴, 배 세 부분으로 나뉘어 있고 다리는 6개, 그리고 대부분의 곤충에 날개와 더듬이가 있습니다. 나비, 벌, 개미, 잠자리 등.
벌레는 보통 기어 다니거나 날아다니는 작은 생물을 부를 때 사용하는 말입니다. 우리는 벌레라는 단어에서부터 혐오감을 느끼게 되죠. 그래서 곤충이든 곤충이 아니든 뭔가 작고 징그러운 것들을 벌레라고 칭하는 것 같습니다. 예를 들면 거미, 지렁이, 진드기처럼요. 하지만 이런 동물들은 곤충이 아니고요. 지렁이는 환형동물(고리모양의 동물)이고, 진드기는 곤충이 아닌 거미류에 속한다고 합니다. 거미 또한 다리가 8개(4쌍)이고 날개와 더듬이가 없어 곤충이 아닌 절지동물문 거미강의 동물입니다.
'단어 - 어휘력 키우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야구 용어 LOB, OPS, ERA 뜻 (15) | 2025.07.03 |
---|---|
미필적 고의 뜻, 관련 사건 예, 확정적 고의, 과실 (15) | 2025.06.17 |
수의근과 불수의근 뜻 차이 (3) | 2025.06.12 |
전완근과 상완근, 우완과 좌완 - 팔뚝 완 한자어 (6) | 2025.06.04 |
낫아웃 삼진, 루킹 삼진, 헛스윙 삼진 뜻 알아보기 (1) | 2025.05.1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