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단어 - 어휘력 키우기72

종이의 종류 - 유산지 종이 호일 골판지 마분지 습자지 유산지 종이 호일 골판지 마분지 습자지 한지 등 종이의 종류 알아보기 일상생활에서 많이 접하는 종이, 종이에도 그 종류가 꽤 다양합니다. 요리와 베이킹에 사용되는 유산지나 종이 호일, 택배 상자에 사용되는 골판지, 전통적인 한지, 공예에 사용되는 종이도 있는데요. 다양한 종이의 종류에 대해 알아봅니다. 유산지유산지(硫酸紙 유황 유, 실/산소 산, 종이 지) 유산지는 국어사전에 진한 황산 용액으로 처리한 종이라고 설명되어 있습니다.유산지는 얇고 매끄러운 반투명의 종이로 기름을 흡수하며 식품이나 약품을 포장하는 데 사용됩니다. 유산지는 제과나 제빵용으로 많이 쓰이고 샌드위치나 빵 같은 베이커리를 포장할 때에도 많이 사용됩니다. 빵집에는 트레이, 유산지, 집게가 세트로 비치되어 있죠. 트레이 .. 2025. 4. 21.
경신 갱신 바르게 구별해서 사용하기 경신과 갱신 구별하기 경신과 갱신, 이 두 단어를 정확하게 구별하시나요? 자주 보고 사용하는 단어지만 순간 헷갈릴 때가 있습니다. 경신? 갱신? 어느 상황에서 사용되는 말인지 정확하게 알아봅니다. 경신(更新)과 갱신(更新) 경신과 갱신은 같은 한자를 사용합니다. 한자로는 경신도 更新, 갱신도 更新이라고 씁니다. 두 단어에 공통으로 사용되는 新은 '새로울 신'이죠. 어렵지 않은 한자입니다. 하지만 更이라는 한자는 '경'이라고도 읽고 '갱'이라고도 읽을 수 있는데요. 更 고칠 경 / 다시 갱 '고치다'의 뜻일 때는 '경'으로 읽고 고치다, 변경되다, 바꾸다 등의 뜻으로 쓰입니다.'다시'의 의미일 때는 '갱'으로 발음하고, 말 그대로 '다시'의 의미로 사용됩니다. 따라서 경신(更.. 2025. 3. 12.
기성세대 기시감 기혼 기득권 기정사실 뜻- 이미 기(旣)가 쓰인 단어 기성세대, 기시감, 기혼, 기득권과 같이 이미 기(旣)가 사용된 단어 우리가 사용하는 말은 한자어로 이루어진 단어가 많습니다. 사용된 한자를 알면 단어의 뜻이 더 명확하게 와닿는 것 같은데요. 기성품, 기성복, 기성세대, 기시감, 기혼, 기득권, 기정사실 등 이미 기(旣)가 사용된 단어의 뜻을 알아봅니다.   1. 기성품, 기성복, 기성세대, 기성작가  기성(旣成 이미 기, 이룰 성) 기성이라 하면 한자 뜻 그대로 이미 이루어진 것, 즉 어떤 사물이나 상황이 이미 만들어져 있는 것을 말합니다.  기성(旣成)이 쓰인 단어를 살펴볼까요? ▷ 기성품(旣成品 이미 기, 이룰 성, 물건 품) 이미 만들어 놓고 파는 물건, 또는 미리 일정한 규격대로 만들어 놓고 파는 물품을 뜻합니다.  이 기성품에 속하는 것이라면.. 2025. 2. 13.
금일 금년, 예년 평년, 당일 명일 익일, 금명간 뜻 바로 알기 금일, 당일, 명일, 익일, 금명간, 예년, 평년 단어 알아보기 금일, 당일, 명일, 익일, 금명간, 예년, 평년. 우리가 일상생활을 하며 많이 보고 듣는 단어입니다. 이미 잘 알고 있는 단어도 있겠지만 금명간처럼 순간 뭐지? 하는 단어도 있는데요. 각 단어의 뜻과 어느 경우에 사용되는지 자세히 알아봅니다.   1. 금일(今日)  금주(今週)  금년(今年)  ▶ 금일(今日 이제/지금 금, 날 일)금일, 금주, 금년의 금(今)은 이제, 지금의 뜻을 갖습니다. 그래서 금일(今日)이라고 하면 지금에 해당하는 날, 즉 오늘을 뜻합니다. 일상생활에서나 공적인 곳에서도 많이 사용되는 단어죠. 사용 예시 - 금일 휴업 / 금일 밤 / 금일 중 회신 요함 / 금일 1순위 청약 실시 등     ▶ 금주(今週)는 마찬가지.. 2025. 2. 6.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