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단어 - 어휘력 키우기

엘니뇨 라니냐 - 해수면 온도 변화와 이상 기온 현상

by hanara 2024. 11. 20.
반응형

 

엘니뇨와 라니냐

 

엘니뇨와 라니냐, 이상 기온 현상이 나타나면 항상 등장하는 단어입니다. 엘니뇨와 라니냐는 날씨뿐만 아니라 생태계, 경제 등 전 세계적으로 큰 영향을 미친다고 하는데요. 엘니뇨와 라니냐에 대해 알아봅니다. 

 

 

 

엘니뇨와 라니냐

 

대기 중에는 무역풍이 적도를 따라 동쪽에서 서쪽으로 붑니다. 때문에 남아메리카의 따뜻한 물은 아시아로 옮겨지고, 그 따뜻한 물을 대체하기 위해 깊은 곳의 차가운 물이 올라오게 됩니다. 이를 상승류라고 합니다. 그래서 일반적인 태평양의 해수면 온도 분포를 보면 서태평양의 해수면 온도는 높고 동태평양의 해수면 온도는 상대적으로 낮다고 합니다.

 

그런데 이러한 정상적인 상태를 깨는 기후 패턴이 있는데요. 이것이 엘니뇨와 라니냐입니다. 엘니뇨와 라니냐는 평균 2~7년마다 발생하며 보통 수개월 동안 지속된다 하는데요. 일반적으로는 엘니뇨가 라니냐보다 더 자주 나타난다고 합니다. 

 

 

  엘니뇨 el Nino  

 

엘니뇨는 우리말 발음상 '엘리뇨'로 많이 알고 있는데 정확한 표기법은 엘니뇨라고 합니다. 스페인어를 보면 엘니뇨라는 걸 쉽게 알 수 있습니다.

 

 

엘니뇨 단어의 뜻

 

엘니뇨(el Nino)는 스페인어로 남자아이 또는 아기 예수를 뜻하는 말이라고 하는데요. (니뇨nino는 어린아이, 엘el은 남성 단수 명사 앞에 오는 관사) 

크리스마스 시즌에 해수면 온도가 상승하여 어획량이 줄어들자(차가운 하층 해수에는 물고기들의 식량원이 되는 영양분이 풍부한데 상승류가 약해져서 물고기들의 식량원이 부족하기 때문) 그 지역 어부들은 예수가 주는 휴가라 하여 일을 쉬고 축제를 열어 즐겼다고 합니다. 그래서 아기 예수를 뜻하는 엘니뇨라는 말이 붙었다고 합니다.

엘니뇨-라니냐-이상기온현상
엘니뇨 현상 (출처:기상청)

 

 

엘니뇨

 

엘니뇨 동안에는 무역풍이 약해지면 따뜻한 해수가 태평양의 동쪽, 즉 남아메리카의 서쪽 해안으로 밀려나게 됩니다. 정상적인 상태라면 동태평양의 따뜻한 물이 서쪽으로 이동해야 하는데 그러지 못하는 거죠. 따라서 엘니뇨 동안에는 상승류가 약해지게 됩니다. 

이렇게 남아메리카 서해안을 따라 흐르는 해류 속에 몇 년에 한 번 이상 난류가 흘러드는 현상(평상시보다 해수면의 온도가 높은 상태)을 엘니뇨라고 합니다.

 

엘니뇨는 바닷물의 온도 변화와 함께 대기와 해양의 흐름을 바꾸어 기상현상이 달라지도록 하는데요. 예년보다 따뜻한 겨울, 비가 적은 지역에 많은 비, 반대로 비가 많은 지역에 가뭄이 생기게도 합니다.

이 때문에 엘니뇨는 에콰도르에서 칠레에 이르는 지역의 농업과 어업에 피해를 주고, 태평양의 적도 지방과 아시아 및 북아메리카에도 광범위한 기상 이상 현상을 일으킵니다. 

 

 

 

  라니냐 la Nina  

 

 

라니냐 단어의 뜻

 

라니냐(la Nina)는 스페인어로 어린 소녀를 뜻합니다. (니냐Nina는 여자아이, 라la는 여성 단수 명사 앞에 오는 정관사)

라니냐는 엘니뇨와 반대되는 현상으로 중·동태평양의 해수면 온도가 평상시보다 낮아지는 것을 말합니다. 그래서 아기 예수, 남자아이를 말하는 엘니뇨와 반대된다 하여 라니냐라는 이름이 붙었습니다. 

 

 

라니냐

 

라니냐는 서태평양의 수온이 상승하면서 적도 부근 동태평양의 수온이 비정상적으로 낮아지는 현상입니다.

 

라니냐 현상 동안 무역풍은 평상시보다 더 강해져서 아시아로 따뜻한 물을 더 많이 밀어냅니다. 온난한 수역이 서쪽으로 이동하면서 동태평양인 아메리카 서부 해안에 심해의 찬물 상승(상승류)이 증가하게 됩니다. 이로 인해 동태평양의 해수면 온도가 평상시보다 낮아지게 되는 것이죠. 

 

라니냐로 인해 태평양 서부에는 이상 강우나 태풍이 나타나고 태평양 동부에서는 건조하고 예년보다 기온이 낮은 현상이 나타납니다. 

 

 

 

엘니뇨와 라니냐로 인한 기후 변화

 

 

엘니뇨와 라니냐를 간단히 정의하면?

상대적으로 낮은 중·태평양의 해수면 온도가 높아지는 현상을 엘니뇨, 반대로 중·동태평양의 해수면 온도가 평상시보다 낮아지는 것을 라니냐라고 합니다. 

 

 

엘니뇨와 라니냐는 적도 부근 태평양에 나타나는 해수면 온도 변화이지만, 해양과 대기의 흐름으로 인해 전 세계적으로 날씨에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엘니뇨 동안은 따뜻한 해수가 서태평양 쪽으로 밀려나지 못해 더 많이 퍼지게 됩니다. 따라서 엘니뇨 현상은 일반적으로 지구의 기온을 상승시키고, 반대로 라니냐 현상은 지구의 기온이 낮아지게 합니다. 

 

 

엘니뇨-라니냐-이상기온현상
엘니뇨와 라니냐 기후변화 (출처:기상청)

 

 

엘니뇨 현상 동안에는 호주와 필리핀 등의 서태평양 지역에는 가뭄이 나타나고, 페루와 칠레 등의 동태평양 지역엔 강우량이 높아지게 됩니다. 

반대로 라니냐 동안에는 서태평양 지역에는 강수량이 많아지고, 동태평양 지역에는 날씨가 건조해지면서 가뭄이 나타날 수 있으며, 북반부 지역에는 한파가 찾아올 수 있습니다.

 

엘니뇨와 라니냐로 인한 기후 변화는 전 세계의 생태계, 식량 생산, 경제 등에도 큰 영향을 미칩니다. 

엘니뇨가 발생하면 아시아 지역에는 가뭄이 발생하여 작황이 좋지 않고, 남미 지역에선 해양 생물의 식량이 줄어들어 어획량이 줄어들게 됩니다.

최근의 연구에 따르면 엘니뇨 현상으로 세계 경제 성장이 크게 감소하였으며 향후 더 심각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합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