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단어 - 어휘력 키우기

온열 질환 종류, 열사병과 일사병 차이

by hanara 2025. 7. 14.

온열 질환의 종류, 열사병과 일사병의 차이 알아보기

 

연일 이어지는 폭염으로 온열 질환자가 발생했다는 뉴스를 많이 보게 됩니다. 매년 여름 뉴스 기사에 빠지지 않고 등장하는 단어, 온열 질환이란? 그리고 더위를 먹었을 때 나타나는 증상은? 온열 질환의 종류와 함께 대표적인 온열질환인 열사병과 일사병의 차이에 대해 알아봅니다.

 

 

     1. 온열 질환이란?

 

온열 질환(溫熱疾患)은 실외나 실내에서 고온의 극심한 더위에 노출되어 발생하는 질환을 말합니다. 기온이 높고 습한 날씨, 강한 햇빛, 통풍이 잘되지 않는 곳에서 오래 머무를 경우 발생할 수 있습니다.

 

우리는 흔히 '더위 먹다'라는 표현을 하죠. 계속되는 무더위에 적응하기 힘들고 그로 인해 우리 몸에는 여러가지 부작용이 나타나게 되는데요. 온열 질환은 신체의 체온이 높아짐으로 인해 다양한 증상이 나타날 수 있는 열 관련 질환이므로 더운 여름철에 특히 조심해야 합니다. 

 

     온열 질환 종류와 증상

열과 관련된 질환인 온열 질환에는 열사병, 일사병, 열실신, 열경련, 열발진 등이 있습니다. 

 

● 열사병(熱射病 더울 열, 쏠 사, 병 병) 

열사병은 고온 다습한 곳에서 몸의 열을 발산하지 못해서 생기는 병입니다. 체온 조절이 제대로 되지 않아 체온이 40도 이상으로 상승하는 가장 심각한 온열 질환입니다. 두통과 현기증, 심할 경우 의식 장애, 경련을 일으키며 사망에 이를 수도 있습니다. 

온열-질환-종류-열사병-일사병-차이-증상-응급처치
여름철 온열 질환

 

일사병(日射病 해 일, 쏠 사, 병 병)

일사병은 강한 햇빛을 오래 쬐어 생기는 것으로 열탈진이라고도 합니다. 한 여름 실외에서 직사광선을 받으며 오래 머무르는 경우 땀을 많이 흘려 나타나며 심한 두통과 현기증을 일으킵니다. 

 

열경련

열경련은 고온의 환경에서 힘든 노동이나 운동 등을 할 경우 땀을 많이 흘려 수분과 염분이 과도하게 손실되어 생기는 근육 경련입니다. 주로 팔과 다리, 복부에서 발생합니다.

열경련이 나타났을 경우 시원한 곳에서 휴식을 취하며 수분을 보충하고 근육을 푸는 마사지를 해줍니다.

 

열실신

열실신은 더운 곳에서 오래 서 있거나 고온의 환경에서 앉아있다 일어설 경우, 체온이 높아지며 뇌로 가는 혈액량이 일시적으로 부족하여 발생합니다. 어지럽고 일시적으로 의식을 잃게 될 수 있으므로, 시원한 곳으로 옮기고 수분을 공급해 줍니다.

 

열발진

열발진은 덥고 습한 날씨에 과도한 땀으로 인해 피부에 생기는 발진입니다. 목이나 가슴 위쪽, 그리고 팔, 다리의 안쪽 부분에 주로 나타납니다. 환부를 시원하고 건조하게 유지해 줍니다.

 

열부종

체온이 높아지면 신체는 열을 발산하기 위해 피부 쪽의 혈액량이 늘게 됩니다. 이때 혈액 내 수분이 이동하면서 몸이 붓는 것을 열부종이라고 하며 주로 손이나 발에 나타납니다. 

 

 

     온열 질환의 예방

온열 질환은 증상이 가벼울 수도, 심할 수도 있습니다. 가벼운 온열 질환 증상이라도 제대로 관리하지 않을 경우 그 증상이 지속되어 심각한 질환으로 진행될 수도 있기 때문에, 폭염이 기승을 부리는 한여름에는 온열 질환을 예방하기 위해 일상생활에서 주의를 기울여야 합니다.

 

- 주기적으로 물을 마셔서 충분한 수분 섭취를 해줍니다.

 

- 햇빛이 강한 낮시간대(12시~17시)에는 외부에 오랜 시간 머물지 않도록 합니다.

 

- 느슨하고 밝은 색깔의 옷을 착용하고, 외출 시 양산이나 모자 등으로 햇빛을 가려줍니다.

 

- 실외에 있을 때는 활동 강도를 조절하고 규칙적인 휴식으로 체력을 유지하도록 합니다. 

 

- 술은 체온을 올리고 카페인은 이뇨작용으로 수분 손실을 가져오므로 술과 카페인의 섭취량을 조절합니다.

온열-질환-종류-열사병-일사병-차이-증상-응급처치
온열질환 - 열사병 일사병

 

대표적인 온열 질환에는 열사병과 일사병이 있는데요. 그렇다면 일사병과 열사병의 차이는 뭘까요?

 

2. 열사병과 일사병의 차이

 

 

 열사병 

열사병은 고온 다습한 곳에서 몸의 열을 발산하지 못해 생기는 질환으로, 신체가 더 이상 체온을 조절할 수 없을 때 발생합니다.

체온은 급격하게 상승하는데 땀 배출이 원활하지 않아 체온을 낮출 수 없게 되면, 15분 이내의 짧은 시간에도 체온이 40도 이상 올라갈 수 있습니다. 열사병은 바로 응급 치료를 받지 않으면 심각한 장애 및 사망에까지 이를 수 있는 질환입니다.

  

 열사병의 증상 

고열(40도 이상), 뜨겁고 건조한 피부(발한 기능 상실로 땀이 나지 않을 수 있음), 의식 불명 등의 혼수상태, 발작 등

 

 열사병 응급 처치 

열사병의 증상과 함께 의식이 불분명하다면 즉시 119에 응급 구조를 요청합니다. 기다리는 동안 그늘지고 시원한 곳으로 옮깁니다. 겉옷을 벗기고 차갑고 젖은 천을 피부에 올려놓는 등 체온을 낮추도록 합니다. 의식이 없을 경우 수분 공급은 하지 않습니다. 

온열-질환-종류-열사병-일사병-차이-증상-응급처치
온열 질환 - 열사병 일사병 차이

 

 일사병 

일사병은 강한 햇빛에 장시간 노출되었을 때 나타나는 질환으로, 땀을 많이 흘려 수분과 전해질이 손실되어 발생합니다.  

 

 일사병의 증상 

심한 땀, 두통과 어지러움, 극심한 피로감, 피부 창백, 메스꺼움 등

 

 일사병 응급 처치 

즉시 그늘진 시원한 곳으로 옮기고 이온음료 등으로 수분과 전해질을 보충해 줍니다. 옷을 느슨하게 풀고 찬수건으로 몸을 닦는 등 체온을 낮추어 줍니다. 증상이 1시간 이상 지속되거나 회복되지 않을 경우, 의료진의 진료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일사병은 열사병보다는 덜 심각하지만 제때 적절한 조치를 하지 않으면 열사병으로 진행될 수 있으므로 초기에 잘 대응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 여름철 날씨 관련 글

복사열 뜻 - 태양 복사열 / 열의 이동 방법 전도, 대류, 복사

 

복사열 뜻 - 태양 복사열 / 열의 이동 방법 전도, 대류, 복사

복사열이란? 여름이면 자주 볼 수 있는 단어 태양 복사열. 연일 폭염이 지속되고 있습니다. 폭염 경보에 대한 안전안내문자가 며칠째 계속 오고 있고요. 여름이면 태양 복사열에 관한 기사가 유

streambook.tistory.com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