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단어 - 어휘력 키우기

내성이 생기다 - 내성

by hanara 2023. 7. 27.

'내성이 생기다' 내성 뜻 알아보기

 

'내성'이라는 단어는 우리가 일상생활에서 자주 사용하는 단어입니다. 특히 약을 복용하면서 이 내성이라는 단어를 쓰는 경우가 많죠. 한자어 '내성'의 뜻견딜 내(耐) 자가 사용된 단어를 알아보겠습니다.

 

 

 

내성이 생기다

 

어떤 약을 오래 복용하거나 자주 복용해야 할 때 우리는 '혹시 이 약에 내성이 생겨 효과가 없어지는 건 아닐까?' 하는 걱정을 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몇 번이나 며칠 먹고 끝내는 약이야 이런 걱정을 하지 않아도 되지만, 같은 약을 몇 달 이상 복용해야 할 때나 같은 성분의 약을 자주 복용해야 하는 경우에 약에 대한 내성이 염려되는 건 어쩔 수 없는 것 같습니다. 

 

하지만 이런 걱정이 든다고 본인 판단하에 약을 중단하거나 띄엄띄엄 복용하는 일은 없어야 합니다. 오히려 치료에 더 안 좋을 수 있으니까요.

 

내성이-생기다-내성-뜻
내성이 생기다 - 내성 뜻

 

내성의 뜻

 

우리는 일상용어로 '내성'이라는 말을 많이 사용합니다.

 

내성(견딜 내, 성품 성) - 견디는 성질 / 약물의 반복 복용으로 약효가 저하하는 현상.

- 항생제에 대한 병균의 내성이 점점 강해지고 있다.

 

무분별한 항생제의 사용으로 인해 정작 필요할 때 사용하는 항생제가 듣지 않는 경우가 있습니다. 그래서 항생제가 꼭 필요할 때 쓰도록 하는 '항생제 내성 예방 캠페인'을 실시하기도 하는데요.

 

항생제에 대한 병균의 내성이 생기지 않도록 적절한 사용이 필요하겠습니다. 

 

▶▶▶  항생제 내성 관련 글 

 

 

 

내성에 사용되는 한자 견딜 내(耐)

 

내성의 '내'와 같이 견딜 내(耐)가 사용되는 단어입니다. '내' 자가 '견디다'라는 뜻임을 알면 해당 단어가 더 잘 이해되겠죠.

 

 

●  인내(忍耐 참을 인, 견딜 내) - 괴로움이나 어려움 따위를 참고 견딤 / 인내로 역경을 극복하다.

 

●  감내(堪耐 견딜 감, 견딜 내) - 어려움을 참고 견딤 / 우리 부모님은 온갖 고통을 감내하며 살아오셨다.

 

●  내구(耐久 견딜 내, 오래 구) - 오래 견딤

내구성 - 변질되거나 변형되지 않고 오래 견디는 성질 / 이 제품은 내구성이 뛰어나다.

 

●  내건성(耐乾性 견딜 내, 마를 건, 성품 성) - 가물을 타지 않고 견디어 내는 성질

내건성 작물 - 가물에도 잘 견디는 특성을 지닌 작물

 

 

 

 

●  내진(耐震 견딜 내, 진동할 진) - 지진에 잘 견딤

내진 건축 - 지진을 견디어 낼 수 있도록 튼튼하게 건물을 짓는 일.

 

●  내열(耐熱 견딜 내, 더울 열) - 높은 열에 잘 견딤 / 내열 용기

내열유리 - 높은 열에도 잘 견디도록 만든 유리

 

●  내한(耐寒 견딜 내, 찰 한) - 추위를 견딤 / 해난 구조대는 극한 상황에 대비해 혹한기 내한 훈련을 실시했다.

 

●  내화(耐火 견딜 내, 불 화) - 불에 타지 않고 잘 견딤 / 내화 설비를 하다.

내화재 - 불에 타지 않고 잘 견딜 수 있는 재료.

 

 

 

 

●  내용(耐用 견딜 내, 쓸 용) - 기계나 시설 따위가 오랜 기간 사용해도 견디어 냄

내용재(耐用財) - 쉽게 소모되지 않고 장기간에 걸쳐 사용할 수 있는 재화. 

 

●  내습(耐濕 견딜 내, 젖을 습) - 습기에 잘 견딤 / 이 장비는 내습이 뛰어나 장마철에 쓰기 적당하다.

 

●  내압(耐壓 견딜 내, 누를 압) - 압력에 잘 견딤 / 철근 콘크리트를 써서 건축물의 수직 내압을 높인다.

 

●  내폭(耐爆 견딜 내, 터질 폭) - 건축물 따위의 구조물이 폭탄에 맞아도 견딜 수 있음


 

참고로 내성발톱에서 내성은 ingrown을 뜻합니다. ingrown은 (발톱이) 살로 파고든, 안쪽으로 자라는 이라는 뜻이고요.

발톱의 끝부분이 살을 점점 찌르거나 파고들며 자라기 때문에 염증이 생기고 살이 부풀어 오르게 됩니다. 엄지발톱에서 가장 많이 발병하는 질환입니다.

 

댓글